(노이즈 대책) USB to RS232 TTL 절연기

실험할때, 또는 필드에 있을때 장비 노이즈가 RS232 라인을 타고 PC의 영 좋지못한것을 스치면 USB 포트가 나가던지 최악의 경우 PC까지 뻑나는 상황까지 올 수 있다.. 따라서 RS232 TTL 통신을 사용하는 PC와 마이컴(AVR, 아두이노, STM32 시리즈 등)통신시 노이즈의 간섭을 막기 위해 USB to UART (RS232 TTL)절연기를 만들었다. 절연기와 디바이스(마이컴)쪽 전원이 전기적으로 완전히 분리되어 있고, 그 분리된 절연전압은 무려 5kVrms. 통신속도는 CP2102 최대통신속도인 1Mbps (1,000,000bps)를 완벽히 지원한다. Schematic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USB… Continue reading (노이즈 대책) USB to RS232 TTL 절연기

MAX14855 RS485/RS422 절연 트랜시버 테스트

    필요해서 만든 MCU UART to RS485/RS422 통신절연 모듈. 입출력 최대 2.75kV (1min)까지 전기적으로 분리시켜주기 때문에 PLC, 전력 측정 등의 장비간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한다. 우리의 위대한 Maxim Integrated 社 의 MAX14855 칩을 사용했고, 칩 내부에 절연 트랜스포머 드라이버 및 LDO회로 등.. 칩에 필요한 기능이 다 들어있어서 개발자 입장에서는 되게 편리하고 시간도 절약된다.         위… Continue reading MAX14855 RS485/RS422 절연 트랜시버 테스트

LED VU미터 타워

LED Dual Volume Unit Meter Tower Rev.1 @ 2015.11 본 글에서 소개하는 VU미터 제작기는 AVR또는 아두이노(Arduino)를 활용하였으며, 약간의 손재주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우선 VU 미터는 아래 사진과 같이 소리의 크기를 일정한 레벨에 따라 시각화시켜주는 것입니다. 위 작은 VU미터를 크고 아름답게 만든것이 아래 사진. 준비물 VU미터가 스테레오이므로 총 2대 제작. 1. 회로도 D1은 문턱전압이 높은 일반… Continue reading LED VU미터 타워

릴레이의 써지 노이즈 대책 방법들 총정리

부제: 폭★8 릴레이 코일(솔레노이드)도 하나의 인덕터 철심에다 코일을 감아놓은 솔레노이드가 전자석이 되어 릴레이의 접점을 제어하는데, 이때 코일을 감아놓은 솔레노이드를 다른말로 인덕터라고도 한다. 그런데 이 인덕터(솔레노이드)가 밥을 주다가 안주면.. 엍 님 밥안줌? 하면서 깽판치는데 이게 순간적인 써지노이즈로 돌변한다고 보면 된다 ! 어느날 TR이 D져 있었다 ! 릴레이가 꺼질때 발생된 역기전력을 캣치! 한 파형이다. 솔레노이드(인덕터)의 역기전력이 천장을 뚫는다아아아ㅏㅏ아아아ㅏㅏ 필자가 사용한 릴레이(첫번째… Continue reading 릴레이의 써지 노이즈 대책 방법들 총정리

테슬라코일 회전 스파크갭 v2 테스트

부제: 귀 테러 장치 회전 스파크갭 v1 업그레이드 이번에는 천만년전 딱랩에 투척된 로터리 스파크갭을 조금 업그레이드한 v2 를 만들었다. 아래는 2011년 딱랩에 투척된 로터리 스파크갭 테스트 포스트중 일부. 더 이상의 설명은 생략한다 ! 긴말은 줄이고.. 귀갱이니 소리를 낮추고 재생하도록 하자. 전자레인지 고압트랜스 X2 직렬 였던가.. X3 였던가.. 후 정류 + 일전에 만들었던 유리병(맥주병) 커패시터를 연결하였다. 모터 소리를 들으면서… Continue reading 테슬라코일 회전 스파크갭 v2 테스트

코일건 – 가장 심플한 콘덴서 충전방법과 회로(350VDC 이하)

부제: 부스트 컨버터 그딴거 필요없다 !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. 돌돌 감겨진 코일에 강한 전류를 흘려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투사체를 찰지게 쏘는 장치를 코일건이라고하는데, 대게 300VDC급 내압을 가진 수천, 수만 uF 급 용량을 가진 콘덴서에 전하를 모아뒀다가 SCR 같은 전력소자로 한꺼번에 많은 에너지를 코일에 인가한다. 이때 300VDC급 전압원을 어디서 구할것인가?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하면 되지만 더 간단한… Continue reading 코일건 – 가장 심플한 콘덴서 충전방법과 회로(350VDC 이하)

강화유리가 바사삭

1. 유리 뚫는 기능 2. 유리를 뚫고나서 깨지게 만드는 기능 3. 깨진 유리 치우고 밟혀서 사람 귀찮게 만드는 기능 결론: 고전압 실험은 전도체가 깔린 유리위에서 하지 맙시다.

Atmega328 + 74HC595 Shift Register 테스트

대략 요새 근황.. 74HC595 라는 8비트 시프트 레지스터로 Atmega328 포트 확장을 해보았습니다. 사진은 시프트 레지스터 4개를 사용하여 바 LED 3개를 작동시킨 모습, 총 30개의 LED 입니다. 요 사진은 595 iC 에 들어가는 신호를 오실로스코프로 캣치! 한 모습입니다. 채널 1이 74HC494 클럭 입력인 11번핀을 찍었고, 채널 2는 데이터 입력인 14번핀을 찍었습니다. 위 파형에 의하면 LED 바… Continue reading Atmega328 + 74HC595 Shift Register 테스트